애플라이드 테라퓨틱스(APLT): 회사 개요 및 동향
애플라이드 테라퓨틱스(APLT)는 임상 단계 바이오 제약회사로, 수요가 높은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한다. 뉴욕(New York)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고급 결정학(crystallography), 바이오마커 가이드, 확립된 임상 평가변수(endpoints)를 활용하는 기술 중심 접근법을 통해 후보 약물의 개발 및 규제 승인 과정을 가속화한다.
기업 구조 및 리더십
- 직원 수: 약 11~50명 규모의 소규모 조직을 유지한다.
- 주요 임원 및 기여자:
- 코스탄틴 치노포로스(Constantine Chinoporos), 기업 개발 임원: 바이오파마 라이선스·M&A 전문
- 리나 토마스 콜라콧(Reena Thomas Colacot), 수석 과학자
- 킴벌리 구텍 콕스(Kimberly Gutek Cox), 운영 임원: 공급망 및 제조 전략 담당
- 앤드루 와스무스(Andrew Wasmuth), 화학·제조·제형 부사장
이 팀은 다양한 희귀 대사 질환과 연관된 효소를 표적하는 알도스 환원효소 억제제(ARI) 파이프라인을 지원한다.

Biopharmaceuticals by little plant
최근 개발 및 소식
- 주가 동향(2025-09-26)
- 티커: APLT(나스닥 캐피털 마켓)
- 종가: $0.7219 (장중 28.86% 상승)
- 거래량: 2,967,292주
- Phase II/III INSPIRE 임상 시험(2025년 9월)
애플라이드 테라퓨틱스는 SORD 결핍(Charcot-Marie-Tooth 질환의 하위형) 치료 후보 약물인 고보레스타트(govorestat)가 12개월 치료 후 주 평가 변수인 10m 보행·달리기 검사에서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2차 및 환자보고 결과는 긍정적이었으며, 2025년 NDA(신약허가신청) 제출 계획을 밝혔다. - FDA 상호 작용(2024년 12월)
FDA는 갈락토스혈증(galactosemia) 치료제 고보레스타트 신청서에 대해 보완요구공문(Refusal to File)을 발송했다. 애플라이드는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FDA와 협의하고 있다. - 주식 발행(2025년 8월 29일)
칸터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와의 시장형 주식매출계약(ATM)을 통해 최대 7,500만 달러 규모의 보통주 발행을 승인했다. 칸터 피츠제럴드는 총수익의 3.0%를 수수료로 받아 판매대행 역할을 수행한다. - 기관 투자자 지분 현황(2025년 8월 14일)
T. 로우 프라이스(T. Rowe Price Investment Management)가 18,683,990주(발행주식의 약 13.2%)를 보유했다고 보고해, 기관투자가의 관심을 나타냈다.
재무 및 전략 분석
애플라이드 테라퓨틱스의 시가총액은 약 6,300만 달러, 기업가치(EV)는 약 3,600만 달러다. 최근 12개월 및 최신 분기 주요 재무 지표는 다음과 같다:
지표 | 값 |
---|---|
매출액 | $121,000 |
순이익 | –$67.74백만 |
현금성 자산(최근 분기) | $30.4백만 |
부채비율(최근 분기, 부채/자본) | 14.92% |
주가매출비율(연환산) | 531.5배 |
주가순자산비율(최근 분기) | 3.67배 |
높은 주가매출비율은 매출 이전 단계의 임상 기업 특징을 반영한다. 최근 자본 조달은 재무 여력을 확보해 임상 진행 및 NDA 제출 지원을 목표로 한다. 명확한 바이오마커 기반 평가변수를 갖춘 희귀 질환 치료 전략은 규제기관과의 소통에도 긍정적일 수 있다.
시장 위치 및 산업 맥락
바이오테크 연구 분야에서 애플라이드 테라퓨틱스는 희귀 질환 치료제 개발 중소형 기업과 경쟁한다. 알도스 환원효소 표적화 전략을 통해 갈락토스혈증, SORD 결핍, PMM2-CDG, 당뇨병성 망막병증 등 여러 적응증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다만 규제 승인 과제와 대규모 자본 수혈 필요성은 지속적인 고려 사항이다.
tldr
- 2025년 9월 26일 APLT 주가는 28.86% 상승해 $0.7219 기록했다.
- 칸터 피츠제럴드와 7,500만 달러 규모 주식 발행 계약을 체결했다.
- Phase II/III INSPIRE 임상에서 고보레스타트가 주 평가 변수에 실패했으나, 2차 및 환자보고 결과는 긍정적이어서 2025년 NDA 제출 계획을 세웠다.
- FDA는 갈락토스혈증 고보레스타트 신청서에 Refusal to File을 통보했으며, 애플라이드는 보완을 위해 협의 중이다.
- T. 로우 프라이스 등 기관투자가가 약 13.2% 지분을 보유해 희귀 질환 파이프라인 및 재무 전략에 관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