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핵심만 빠르게 알고 싶다면? 하단에서 “TL;DR”를 확인하세요.

그린웨이브, 관세 인상으로 스크랩 가격 급등 후 FY25 전망 상향 조정

NASDAQ

GWAV

2025. 10. 14. | 오후 1:04
GREENWAVE TECHNOLOGY SOLUTIONS INC
linkedin링크드인
weblink웹사이트
❇️ ATTN 트리거:  급등중인 종목입니다.
...
종목
...
가격
...
전일대비 등락률
2025. 10. 14. 오후 1:04 기준

그린웨이브 테크놀로지 솔루션즈 (GWAV): 회사 개요 및 시장 동향

그린웨이브 테크놀로지 솔루션즈 (GWAV)는 버지니아주 노퍽에 본사를 둔 미국 철강·비철금속 재활용 업체로, 100% 국내 조달 고철을 수집·처리·판매하여 미드애틀랜틱 및 남동부 지역의 철강사와 인프라 시공사에 공급한다.

기업 구조

  • 설립 시기: 2013년
  • 자회사: 엠파이어 서비스(Empire Services)
  • 시설: 버지니아·노스캐롤라이나·오하이오에 11개 재활용 공장 운영
  • 임직원 수: 51~200명(운영·물류·환경 규제 준수·기술 부문)
  • 경영진: 회장 겸 CEO 대니 믹스(Danny Meeks)가 전략 및 정부 계약을 총괄
Recycling metals

Recycling metals by v2osk

최근 동향 및 뉴스

  • 2025년 2월 21일: 2025 회계연도 매출 전망치를 4,700만~5,000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뉴코어(뉴코어), 심스 메탈(심스 메탈), 클리블랜드-클리프스(클리블랜드-클리프스), 조지아 퍼시픽(조지아 퍼시픽) 수요 증가와 수입 관세 부과 기대가 반영됐다.
  • 2025년 3월 12일: 미국 철강·알루미늄 수입관세 발효(기존 면제 폐지)로 2월 이후 고철 가격이 20% 이상 상승했다.
  • 2024년 말: 비철금속 재활용 정부·지방자치단체 계약 체결로 Q4 2024 및 Q1 2025에 약 200만 달러 매출 추가, 버지니아비치 지방자치단체 계약으로 50만 달러 매출 기여 예상했다.
  • 2025년 8월 22일: 나스닥 상장 유지 요건 충족을 위해 1대110 역분할(리버스 스플릿)을 단행했으며, 8월 25일부터 조정된 GWAV로 거래를 재개했다. 부수 조정 외에 주주 지분 비율은 변동이 없었다.

재무 및 전략 분석

2024년 실적과 2025년 초 현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2024년 말2025년 2월 말
순손실1억 달러 초과
영업손실3,400만 달러
현금 보유250만 달러1,000만 달러
운전자본 부족1,340만 달러
재고700만 달러
유동자산 증가율635% (2024.9.30)
부채 감소율64% (2024.9.30)
자본(주주지분) 개선5,570만 달러

경영진은 재고 확대가 관세 효과에 따른 가격 상승 기대 때문이라고 설명했고, 즉각적인 자본 조달 계획은 없으나 향후 성장을 위한 자금 수요 가능성을 인정했다.
전략적으로는 ‘그랜드파더 조례’에 따른 지방 재활용 면허를 보유해 진입장벽을 유지하며, 2025년 가동 예정인 뉴코어 노스캐롤라이나 렉싱턴 공장(연간 43만 톤 처리 능력) 수요를 겨냥해 5개 현지 거점과 60×85 인피니트 슈레더(American Pulverizer)를 활용해 고급 고철을 공급할 준비를 갖췄다.

시장 지위 및 산업 맥락

  • 미국 재활용 시장은 다수 사업자가 분산된 상태에서 철강사들의 원자재 확보 차원에서 통합·인수합병이 진행 중이다.
  •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와 구리 관세 검토로 국내 재활용 물량이 증가하는 추세다.
  • 남동부 및 남해안 연안 연방 인프라 투자 확대가 고철 수요를 견인한다.
  • 주요 경쟁사로는 2023년 8월 볼티모어스크랩을 2억 2,000만 달러에 인수한 심스 메탈, 2021년 페러스 프로세싱 앤 트레이딩을 7억 7,500만 달러에 인수한 클리블랜드-클리프스 등이 있다.
  • 선두 철강사들의 97% 이상 재활용 원료 사용 목표가 장기 수요를 뒷받침한다.
  • 그린웨이브는 군사 시설·지방 자치단체 차량·인프라 프로젝트 계약으로 반복 매출 기반을 확보해 가격 변동 리스크를 보완한다.

tldr

  • 2025년 3월 12일 발효된 미국 철강·알루미늄 관세로 고철 가격이 20% 이상 상승, 2025 회계연도 매출 전망치를 4,700만~5,000만 달러로 상향했다.
  • 2024년 말 정부·지방자치단체 계약으로 약 250만 달러 매출을 확보했다.
  • 2025년 8월 22일 나스닥 상장 요건 충족을 위해 1대110 역분할을 단행했다.
  • 2024년 순손실 1억 달러 초과, 운전자본 부족 1,340만 달러에도 현금 1,000만 달러, 재고 700만 달러를 보유했다.
  • 주요 수요 촉매는 연방 인프라 투자와 2025년 가동 예정인 뉴코어 노스캐롤라이나 렉싱턴 공장이다.
※ ATTN에서 제공하는 주식 정보는 단순 참고용일뿐, 투자 제안 및 권유, 종목 추천을 위해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share